[진단] 패널의 [효과] 메뉴에서 옵션을 선택합니다.
진단은 [효과] 메뉴를 통해 사용하거나 [창] > [진단]을 선택하여 [진단] 패널에서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툴을 사용하면 묵음이 발생하는 곳에 마커를 추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디오에서 클릭, 왜곡 또는 묵음을 빠르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오디오 복원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어하려면 진단을 [스펙트럼 표시] 툴 및 [노이즈 감소] 효과와 함께 사용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오디오 복원 기술을 참조하십시오.
선택한 오디오를 모두 처리하는 기존의 노이즈 감소 효과와는 달리, 진단에서는 문제가 있는 영역 또는 묵음 영역을 스캔한 후에 문제를 해결할 항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패널의 [효과] 메뉴에서 옵션을 선택합니다.
[스캔]을 클릭합니다.
패널 아래쪽에서 다음과 같은 작업을 수행합니다.
목록에서 감지된 항목을 하나 이상 선택하고 [복구], [삭제] 또는 [표시]를 클릭합니다. 사용 가능한 옵션은 선택한 진단 효과에 따라 달라집니다.
참고: 감지된 클릭 또는 클리핑을 표시하려면 목록에서 선택한 항목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하고 팝업 메뉴에서 [마커 만들기]를 선택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마커를 사용한 작업을 참조하십시오.
감지된 모든 항목의 문제를 해결하려면 [모두 복구], [모두 삭제] 또는 [모두 표시]를 클릭합니다.
[편집기] 패널에서 선택한 문제를 확대하려면 돋보기 를 클릭합니다. 축소하려면 아이콘을 다시 클릭합니다.
이전에 문제를 해결한 항목을 목록에서 제거하려면 [복구된 항목 지우기], [삭제된 항목 지우기] 또는 [표시된 항목 지우기]를 클릭합니다.
[진단] > [DeClicker] 효과는 무선 마이크, 비닐 레코드 및 기타 소스에서 클릭과 팝을 감지하여 제거합니다.
[DeClicker] 옵션은 [자동 클릭 제거]의 옵션과 일치합니다. [효과 랙]에서 [자동 클릭 제거]를 다른 효과와 결합하여 멀티트랙 편집기에서 적용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자동 클릭 제거 효과를 참조하십시오. 또한 이 효과는 여러 스캔 및 복구 패스를 자동으로 적용합니다. 클릭을 DeClicker와 동일한 레벨만큼 감소시키려면 효과를 수동으로 여러 번 적용해야 합니다. 그러나 [DeClicker]를 사용하면 감지된 클릭을 평가하고 문제를 해결할 항목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패널에서 [설정]을 클릭하여 다음 옵션에 액세스합니다.
임계값
노이즈에 대한 감도를 결정합니다. 낮은 값을 설정할수록 더 많은 클릭 및 팝을 감지할 수 있지만 보존해야 할 오디오까지 포함될 수도 있습니다. 가능한 값은 1-100이며 기본값은 30입니다.
복잡도
노이즈의 복잡도를 나타냅니다. 높은 값을 설정할수록 더 많은 처리를 적용하지만 오디오 품질이 저하될 수도 있습니다. 가능한 값은 1-100이며 기본값은 16입니다.
클릭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려면 확대한 다음 해상도가 256개 밴드인 [스펙트럼 주파수 표시]를 사용합니다. [환경 설정] 대화 상자의 [스펙트럼 표시] 탭에서 이 설정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클릭은 표시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확장되는 밝은 세로 막대로 나타납니다.
[진단] > [DeClipper] 효과는 클리핑된 섹션을 새 오디오 데이터로 채워 클리핑된 파형을 복구합니다. 오디오 진폭이 현재 비트 심도에 대한 최대 레벨을 초과하면 클리핑이 수행됩니다. 일반적으로는 기록 레벨이 너무 높으면 클리핑이 발생합니다. 기록이나 재생 중에 [레벨 미터]를 확인하여 클리핑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클리핑이 발생하면 미터 맨 오른쪽의 상자가 빨간색으로 바뀝니다.
시각적으로, 클리핑된 오디오는 파형 위쪽에 넓은 평탄한 영역으로 표시됩니다. 클리핑된 오디오는 정적 왜곡처럼 들립니다.
클리핑된 오디오의 DC 오프셋을 조정해야 하는 경우 먼저 [DeClipper] 효과를 사용하십시오. 대신 DC 오프셋을 먼저 조정하는 경우에는 [DeClipper]가 0dBFS 아래의 클리핑된 영역을 확인하지 않습니다.
[진단] 패널에서 [설정]을 클릭하여 다음 옵션에 액세스합니다.
게인
처리 전에 발생하는 감쇠의 정도를 지정합니다. 평균 입력 진폭을 게인 설정의 기준으로 사용하려면 [자동]을 클릭합니다.
허용치
클리핑된 영역의 진폭 변화를 지정합니다. 값이 0%이면 최대 진폭에서 완전한 가로선의 클리핑만 감지하고, 값이 1%이면 최대 진폭 아래의 1%에서 시작하는 클리핑을 감지하는 식으로 적용됩니다. 값이 1%일 때 클리핑이 가장 많이 감지됩니다.
최소 클립 크기
복구할 클리핑된 샘플의 최단 실행 길이를 지정합니다. 낮은 값을 사용하면 클리핑된 샘플 중 복구되는 샘플의 비율이 높아지고, 높은 값을 사용하면 앞뒤에 다른 클리핑된 샘플이 있는 경우에만 클리핑된 샘플을 복구합니다.
보간
[3차] 옵션의 경우 스플라인 커브를 사용하여 클리핑된 오디오의 주파수 컨텐츠를 다시 만듭니다. 이 방식은 대부분의 경우에 속도가 보다 빠르지만, 잘못된 주파수가 새로 추가될 수 있습니다. [FFT] 옵션은 고속 푸리에 변환을 사용하여 클리핑된 오디오를 다시 만듭니다. 이 방식은 일반적으로 속도가 더 느리지만 심각한 클리핑에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FFT 크기] 메뉴에서 평가하고 바꿀 주파수 밴드의 수를 선택합니다. 밴드 수가 많을수록 정확도는 높아지지만 처리 시간이 더 오래 걸립니다.
클리핑된 오디오를 복원할 때 진폭을 유지하려면 [게인] 설정을 0으로 지정하여 [DeClipper] 효과를 적용합니다. 그런 다음 [증폭] 값을 0으로 지정하고 [한계] 값을 -0.2dB로 지정하여 [선택한 제한] 효과를 적용합니다.
[진단] > [묵음 삭제] 및 [오디오 표시] 효과는 오디오의 묵음 구간을 확인한 다음 제거하거나 표시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마커를 사용한 작업을 참조하십시오. 묵음을 자동으로 삭제하면 전경 오디오에 영향을 주지 않고 트랙을 짜임새 있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묵음을 자동으로 표시하면 편집을 위해 오디오 큐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진단] 패널에서 [설정]을 클릭하여 다음 옵션에 액세스합니다.
묵음 정의
묵음으로 확인된 진폭 및 지속 시간을 지정합니다.
오디오 정의
오디오 컨텐츠로 확인된 진폭 및 지속 시간을 지정합니다.
레벨 검색
파일의 컨텐츠를 기반으로 묵음과 오디오의 신호 레벨을 자동으로 계산합니다.
수정 방법(묵음 삭제만 해당)
묵음 구간을 지정된 시간(밀리초)으로 줄이려면 [묵음 단축]을 선택합니다. 묵음 구간을 음소거하되 파일 길이는 유지하려면 [묵음 삭제]를 선택합니다. 묵음을 삭제하면 비디오 편집 애플리케이션에서 비디오와 오디오 클립의 동기화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묵음으로 구분된 사운드 또는 음성 섹션을 여러 파일로 나누려면 [오디오 표시] 효과를 적용하고 [모두 표시]를 클릭합니다. 그런 다음 마커 간의 오디오를 새 파일로 저장을 참조하십시오.
내 계정 로그인